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43

[Windows 10] 조직용 설정 계정 생성 후 AAD Join Profile Sync 불가 해결 방법 문의 내역 : PC 계정 생성 후 AAD Join Profile Sync 불가 확인 내역 1. Windows 10에서 계정 생성시 AAD Join → 개인 Profile 생성 → Sync(OneDrive 설정 가져오기등)단계가 이루어집니다. 2. 스크린샷에서 확인되는 내용은 Sync 작동 실패 단계입니다. 3.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은 아래와 같이 몇가지가 있습니다. - Windows 10 정품 OS가 아닐경우 : Windows 10 정품 OS를 사용하여 파티션 삭제 후 다시 설치합니다. (속도 최적화를 위해 서비스 등록 제거 또는 설정 파일 자체를 삭제하여 이미지 제작할 수 있음) - Windows 10 정품 OS일 경우 ㄱ. gpedit가 아래와 같이 정상적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비정.. 2021. 6. 11.
[공유 사서함] Online ShareMailbox to On-Premise User Mailbox can't Send 문의 내용 : Exchange Online에서 공유 사서함 생성 시 Exchange On-Premise의 사용자가 해당 공유 사서함으로 메일 송신 불가 확인 내용 : Exchange On-Premise에서 Powershell을 통한 추가 작업 시 메일 송/수신이 가능합니다. 1. Exchange On-Premise에서 [Exchange Management Shell] 을 실행합니다. 2. New-Remotemailbox 명령어를 이용하여 Online의 공유 사서함과 동일 주소의 공유 사서함을 Exchange On-Premise에서 생성 - 명령어 : New-Remotemailbox youme -Remoteroutingaddress youme@koimpl.kro.kr -Shared - New-Remotem.. 2021. 6. 11.
[OFFICE] Microsoft OFFICE 라이선스 키 제거 배치 파일 ■ 개요 Office 기존 제품 삭제 후 상위 제품 설치 / Office 재설치 등을 진행 시 기존 라이선스가 정상적으로 삭제가 되지 않아 제품 인증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는 경우 기존 라이선스 키를 CMD에서 명령어를 이용하여 제거가 가능하나 첨부된 Bat 파일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기존 OFFICE 라이선스 키를 제거 할 수 있습니다. ■ Microsoft OFFICE 라이선스 키 삭제 Bat 파일 실행 방법 1. 첨부된 파일 다운로드 후 압축 해제 2. [Office License Uninstall] 파일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3. 라이선스 삭제 진행 - 원하는 메뉴의 숫자를 입력합니다. - 표시되는 라이선스 키값 5자리 문자를 확인 후 삭제하고자 하는 라이선스 키값을 입력합니다. - 정상적으로 .. 2021. 6. 10.
[OFFICE] Microsoft OFFICE 라이선스 키 제거 방법 ■ 개요 Office 기존 제품 삭제 후 상위 제품 설치 / Office 재설치 등을 진행 시 기존 라이선스가 정상적으로 삭제가 되지 않아 제품 인증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는 경우 기존 라이선스 키를 CMD에서 명령어를 이용하여 제거가 가능합니다. ■ Microsoft OFFICE 라이선스 키 삭제 방법 1. 윈도우 검색창에서 CMD 검색 후 [명령 프롬프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2. Office가 설치되어 있는 폴더로 이동 - 명령어 : cd C:\Program Files\Microsoft Office\Office16 Office 2016, 2019 1) 설치된 오피스가 64비트 버전인 경우 cd C:\Program Files\Microsoft Office\Office16 2) 설치된 오피스가.. 2021. 6. 9.
Azure Active Directory Joined된 PC에서 자동 로그인 방법 문의 내용 : Azure Active Directory Joined된 PC에서 자동 로그인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싶습니다. 확인 내용 : 아래와 같이 진행할 수 있습니다. 1. 아래의 사진은 PC를 새로 설치 후 Office 365 계정으로만 로그인 설정이 된 상태입니다. 2. 사용자의 PC에서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열어 아래의 위치로 이동합니다. 컴퓨터\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Winlogon 3. 아래와 같이 값을 변경합니다. - AutoAdminLogon 값 데이터 → 1 - ForceAutoLogon 값 데이터 → 1 - DefaultUserName 값 데이터 → Office 365 로그인 ID 입력 -.. 2021. 6. 8.
[Exchange] Online에서 생성된 공유 사서함에 On-Premise 사용자가 메일 송신하는 방법 ■ 개요 Exchange Online에서 공유 사서함 생성 시 Exchange On-Premise의 사용자가 해당 공유 사서함으로 메일 송신 불가 관련하여 조치 방법 기술 ■ 조치 방법 1. Exchange On-Premise에서 [Exchange Management Shell] 을 실행합니다. 2. New-Remotemailbox 명령어를 이용하여 Online의 공유 사서함과 동일 주소의 공유 사서함을 Exchange On-Premise에서 생성 - 명령어 : New-Remotemailbox youme -Remoteroutingaddress youme@koimpl.kro.kr -Shared New-Remotemailbox [공유 사서함 이름] -Remoteroutingaddress [공유 사서함 주소].. 2021. 6. 7.
[OFFICE] Microsoft OFFICE 완전 삭제 방법 ■ 문서 개요 OFFICE 삭제 후 재설치 시 오류 메시지 발생에 대한 조치 방법 기술 ■ 오류 메세지 발생 원인 프로그램 추가/제거 실행시 Microsoft Office 프로세스가 완전하게 종료되지 아니하여 삭제 결과 성공 메시지가 출력되나 실제 삭제는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됨 ■ Microsoft OFFICE 삭제 방법 1. 제어판 > 프로그램 추가/제거 > Microsoft OFFICE 제거 후 PC 재부팅 2. 첨부된 파일 다운로드 후 압축 해제 및 실행 후 PC 재부팅 - 삭제 프로세스 진행시 오랜 시간(30분 이상) 또는 여러번의 제거 화면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모두 진행 후 "문제 해결을 완료 하였습니다" 화면을 꼭 확인해야합니다.) 2021. 6. 6.
[Outlook] Outlook 설치 후 PST View로만 사용할 수 있는 방법 1. Outlook 2016/2019/365를 설치 후 1회에 한해 계정 연동을 진행합니다. ( 어떤 메일 서버이던지 상관 없습니다.) 2. 완료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Outlook이 실행됩니다. 3. 최우측 상단의 X 버튼을 눌러 Outlook을 종료합니다. 4. 제어판을 엽니다. 5. Mail(Microsoft Outlook)을 열고 “데이터 파일”을 선택합니다. 6. 데이터 파일을 추가합니다. 7. 추가한 파일을 기본값으로 설정합니다. 8. 전자 메일 꼐정을 제거합니다. 9. 최종적으로 데이터파일이 하나만 남았는지 확인하고 닫기를 진행합니다. 10. Outlook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계정에 연결되지 아니한 상태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 이후 PST파일만 열어서 볼 수 있습니다. 2021. 6. 5.
[개인정보보호내부관리계획] 샘플 개인정보보호 내부관리계획 No 버전 배포일 구분 변경 내용 작성자 승인자 *1) 버전: 최초 승인을 받고 Baseline으로 등록 되는 시점에 v1.0으로 버전 등록 (예, v1.2 : v1.0버전을 2번째 수정, v1.x가 전면 개정 혹은 수정이 되어 Baseline 되는 시점에 v2.0 이 됨) *2) 구분: 변경 내용이 이전 문서에 대해 추가/수정/삭제/검토/승인 인지 선택 기입 *3) 변경 내용: 변경 내용 및 변경 목차를 자세히 기록 목차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4 제2조(개인정보 보호 원칙) 4 제3조(정보주체의 권리) 4 제4조(용어 정의) 5 제2장 개인정보 보호정책의 수립 및 시행 제5조(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승인) 7 제6조(내부관리계획의 공표) 7 제3장 개인정보보호책임자의 의무.. 2021. 6.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