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975 비트디펜더 탐지엔진, LGU+ 제공 그룹웨어 메신저 악성코드로 오탐 국내 대표 백신인 알약 등에서 LGU+사가 서비스하는 그룹웨어 메신저를 악성코드로 탐지하는 어이없는 일이 발생했다. 이와 관련 LGU+의 그룹웨어 메신저를 사용하는 모 기업 A씨는 “갑자기 알약을 사용하는 직원 중 한명이 메신저 프로그램이 동작하지 않는다며 불평했다. 이후 직원들의 PC에서 메신저의 일부 파일이 삭제됐다는 경고 창과 함께 메신저가 실행되지 않는 사건이 연이어 발생했다”며 당시를 회상했다. 이에 본지가 해당 기업의 알약 치료 로그 기록을 살펴본 결과 그룹웨어 프로그램에 포함된 특정 파일에서 ‘Trojan.GenericKD.1718711’이 탐지됐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그룹웨어 메신저에서 트로이목마로 의심 또는 확인된 파일이 발견돼 삭제된 것이다. 이처럼 17일부터 18일 오전까지.. 2014. 7. 1. CS6 이후 최대 규모의 업데이트, Creative Cloud 2014 릴리스를 만나보십시오. 새로운 기능 보기 : http://www.adobe.com/kr/creativecloud.html?trackingid=KMFXF 이규호 (Lee Kyu ho) ㈜엠플 | 기술팀 | 차장 T.02-501-0223 | D. 070-8786-0486 | F.02-6937-0223 | H. 010-2513-6518 | E. khlee@impl.co.kr 2014. 7. 1. 기업이 개인정보 `보호조치 의무` 소홀 발각땐 무조건 처벌 기업이 개인정보 `보호조치 의무` 소홀 발각땐 무조건 처벌 `인과관계` 안따지고 무조건 처벌 방통위, 입증 조항 삭제 정보통신망법 11월부터 시행 오는 11월부터 기업이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개인정보에 대한 `보호조치 의무'를 소홀히 한 사실이 발각되면 무조건 처벌을 받게 된다. 24일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오는 11월29일부터 본격 시행되는 개정 `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따라 기업이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기술적ㆍ관리적 보호조치 의무를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의무를 위반하면 과징금 처벌도 받는다.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법적 의무조치를 위반한 것만으로 규제당국이 해당 기업을 처벌하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그동안 정통망법은 정보유출 사고를 낸 .. 2014. 6. 30. MS SQL 서버의 진화…"미션 크리티컬도 거뜬" MS SQL 서버의 진화…"미션 크리티컬도 거뜬" [디지털데일리 심재석기자] 국내에서 대다수의 IT전문가들은 기업의 핵심 업무용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으로는 대부분 오라클 DB를 떠올릴 것이다. 실제로 오라클 DB는 국내 시장에서 막강한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그렇다면 2위는 업체는 어디일까? 정답은 마이크로소프트(MS)다. 한국IDC 조사에 따르면, SQL 서버는 지난 상반기 기준으로 17%의 점유율로 2위를 기록하고 있다. 줄곧 2위를 기록해왔던 IBM은 3위로 내려앉았다. 이 같은 조사 결과는 어떤 이들에게 매우 의외로 받아들여질 것이다. ‘MS SQL 서버는 소규모 시스템용’이라는 편견이 아직 팽배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지난 10년 동안 이룬 MS SQL의 발전을 간과하고 있.. 2014. 6. 30. Fasoo Secure Print (출력물 DRM) Fasoo Secure Print (출력물 DRM) FSP는 다양한 출력 정보를 프린트 워터마킹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강제로 삽입하는 방식으로 출력물의 보안을 강화한 문서보안 제품입니다 FSP 도입 필요성 디지털 문서 환경 속 여전히 높은 출력물 활용도 기관 및 기업에서 사용하는 각종 문서가 디지털 문서로 대체되고 있지만, 여전히 회의 자료 및 보고 자료 등 중요 문서들은 출력물 형태로의 활용도가 높음 무분별한 인쇄로 인한 보안 취약점 발생 내부 구성원들의 무분별한 인쇄로 인해 중요 정보가 담긴 문서들이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자원 낭비뿐만 아니라 보안에 대한 경각심과 책임감의 고취 또한 필요해짐. 내부자에 의한 중요 정보 유출 위험 심각 실질적으로 보안 유출 사고의 80% 이상이 내.. 2014. 6. 30. 국내 불법SW 사용률 38%…사상 최저 기록 국내 불법 소프트웨어 사용률이 38%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4일 BSA(소프트웨어연합)는 세계 116개 국가를 대상으로 조사한 ‘BSA 글로벌 소프트웨어 조사 보고서(BSA Global Software Survey)’를 전세계 동시 발표하고, 우리나라 불법 소프트웨어 사용률이 조사 이래 사상 최저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BSA는 격년으로 발행되는 이 보고서에서 우리나라 불법 소프트웨어 사용률이 2011년 40%에서 2% 낮아져 38%를 기록했으며, 세계 평균은 42%에서 43%로, 아시아 평균은 60%에서 62%로 각각 증가했다고 밝혔다. 아시아를 비롯해 전세계에서 소프트웨어 불법 사용률이 높아졌지만 우리나라는 낮아진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불법 소프트웨어 사용률은 아태지역의 경쟁 국가인 일본(1.. 2014. 6. 30. 이전 1 ··· 68 69 70 71 72 73 74 ··· 1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