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975 꼭 알아야 할 랜섬웨어 감염예방법 5가지 하우리 “랜섬웨어 악성코드 지속적으로 한국 겨냥할 것” ViRobot APT Shield 2.0 설치·스팸 메일 첨부파일 실행 금지 등 제시 최근 한글버전의 랜섬웨어인 크립토락커가 국내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무차별적으로 유포돼 피해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보안전문 기업 하우리(대표 김희천, www.hauri.co.kr)는 최근 일주일 동안 지속적으로 국내에 유포되고 있는 랜섬웨어 예방 및 차단을 위해 취약점 공격 방어 프로그램(ViRobot APT Shield 2.0)을 설치하도록 권고하고 감염에 주의할 것을 전했다. ▲ 특정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유포된 한글판 랜섬웨어 크립토락커(출처: 하우리) 국내에 맞춤형으로 현지 한글화된 랜섬웨어 크립토락커는 17일 최초 발견된 이래, 20일~22일 연속으.. 2015. 5. 6. 한글버전 랜섬웨어 '크립토락커' 악성코드 확산중...주의 웹 서핑만으로 감염...중요파일 암호화하고 돈 요구 최근 컴퓨터 이용자의 중요 자료나 개인정보를 무단으로 암호화하고 이를 복구해 주는 조건으로 돈을 요구하는 ‘랜섬웨어’의 일종인 크립토락커(CryptoLocker)의 한글버전이 국내 웹 사이트에서 유포되고 있어 사용자 주의가 요구된다. 랜섬웨어(Ransomware)란 악성 프로그램의 일종으로 컴퓨터 사용자의 문서를 볼모로 잡고 돈을 요구한다고 해서 랜섬(Ransom, 인질)이라는 수식어가 붙었다. 랜섬웨어에 감염된 경우, 사용자 컴퓨터에 저장된 문서, 그림 파일 등을 암호화해 열지 못하도록 하고, 돈을 보내주면 해독용 열쇠 프로그램을 전송해 준다며 금품을 요구하는 신종 사이버범죄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은 국내에서 랜섬웨어 감염 사례가 발견됨에 따라 안랩, 이.. 2015. 5. 6. Microsoft 볼륨 라이선싱 주요 용어 및 약어 CAL: 서버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는 클라이언트 액세스 라이선스(Client Access License) 코어: 프로세서에 탑재되는 소형 처리 장치 장치: 데스크톱 PC, 서버, 휴대 전화, 또는 소프트웨어가 실행되거나 소프트웨어에 액세스하는 장치 인스턴스: 설치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복사본 L&SA: 라이선스와 라이선스에 적용되는 Software Assurance를 모두 취득하는 데 사용되는 라이선스+Software Assurance 팩 ML: 관리 서버에서 운영 체제 환경을 관리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관리 라이선스 MDOP: Microsoft 데스크톱 최적화 팩(Microsoft Desktop Optimization Pack) 운영 체제 환경(OSE): 물리적 컴퓨터(물리적 O.. 2015. 5. 6. SQL Server Passive License 정책 고가용성에 대한 라이선싱 SQL Server 소프트웨어는 한 서버가 실패하면 처리하던 작업을 복구하고 다른 서버에서 계속 처리되도록 구성할 수 있습니다. 라이선스와 SA (Software Assurance)를 확보한 서버는 SQL Server 2014에서 장애 조치를 할 수 있는 하나의 패시브 (Passive) 서버 설치가 허용됩니다. 패시브 보조 서버는 패시브가 맞을 경우 SQL Server 에 대한 추가 라이선스 없이 장애 조치 지원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만약, 장애 조치를 위한 서버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조회 또는 보고와 같은 서비스를 한다면 추가 라이선스가 필요합니다. 유효한 서버 라이선스는 SA를 포함해야 하며 하나의 패시브 보조 SQL Server를 허용해야 합니다. 해당 라이선스는 라.. 2015. 5. 6. 랜섬웨어 악성코드 '비상'.."대처법은?" 한국 사용자들 겨냥, 최신 보안 업데이트해야 악성코드 랜섬웨어의 한글버전 '크립토락커(CryptoLocker)'가 유포되고 있어 네티즌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랜섬웨어란 PC 내 중요 자료를 암호화한 후 볼모로 삼아 금전을 요구하는 악성 프로그램이다. 21일 국내 유명 IT커뮤니티 사이트 클리앙은 랜섬웨어가 확산되자 "21일 새벽 사이트가 바이러스에 감염돼 악성코드가 유포됐다"며 "새벽부터 오전 11시 사이 익스플로러로 사이트에 접속했다면 감염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공지했다. 이날 유포된 크립토락커는 윈도 OS 사용자들을 해킹한 후 컴퓨터 안의 문서, 사진, 동영상 등 중요 파일을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한다. 이후 파일을 열지 못하게 하면서 돈을 요구하는 트로이안 계열의 랜섬웨어다. 특히 이번 해킹.. 2015. 5. 6. 우리 서버 보안 철저해도 옆집 서버 때문에 해킹 당한다 #호스팅 사업자 서비스를 받는 A사 홈페이지가 악성코드 경유지로 악용됐다. A사는 내부 홈페이지 소스코드를 점검했지만 외부침투 흔적을 찾지 못했다. 소스코드가 변조된 흔적도 없었다. A사 서버는 보안관리가 철저했다. 원인은 같은 호스팅 사업자가 관리하는 B업체 서버가 문제였다. 내부망 정보보호를 게을리한 B업체 서버가 주소결정프로토콜(ARP) 스푸핑 공격을 받아 A사까지 감염된 것이다. 정보보호를 제대로 하지 않은 옆집 서버 때문에 우리집 서버가 해킹당하는 사례가 늘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백기승)이 발간한 ‘호스팅 업체 보안 안내서’에 따르면 같은 호스팅 사업자를 이용하는 기업 중 취약한 서버 한 대가 다른 곳까지 영향을 미친다. 자사 서버뿐만 아니라 같은 네트워크 대역을 쓰는 서버 보안 수준이 모.. 2015. 5. 6. 이전 1 ··· 53 54 55 56 57 58 59 ··· 1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