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S(Enterprise Management System) 기능소개
서버 및 네트워크통합관리 솔루션인 Zenius EMS(브레인즈스퀘어)의 기능리스트 입니다.
SMS 및 NMS 솔루션을 검토할 때, 요구사항을 체크할 수 있습니다.
1. 통합운영관리솔루션(EMS)
구분 |
용도 |
운영관리 |
관리자 생성/삭제/변경/로그 관리 기능 |
사용자 등급 별 권한 할당 기능 | |
작업 설정을 통한 데이터수집 및 이벤트 수집/통보 설정 기능 | |
장애관리 |
장애 이벤트에 대한 통합 관리 및 조회 기능 |
서로 다른 관리대상을 연관 지어 통합 장애 상태 및 이벤트 이력 조회 기능 제공 | |
사용자에 의한 수동 장애 처리 상태 관리(발생, 응답, 인지, 종료) | |
시스템에 의한 이벤트 자동 종료 기능 | |
Topology |
관리대상에 대한 Ping / Path ping / Trace Check 기능 |
포트 별 트래픽, 링크 Up/Down 상태 등을 표현하여야 하며, 트래픽 량에 따라서 링크선의 색상 및 애니메이션 효과 등을 이용하여 트래픽이 흘려가는 듯한 직관적 표현 기능 제공 | |
다수 선택 맵을 설정 주기에 따라 순차적 슬라이드 쇼 기능 | |
구성한 맵을 프로파일로 저장 및 불러오기 | |
보고서 |
성능/상관관계/증설필요성/시간대별/가용성/장애이벤트 등 다양한 유형별 보고서 생성 |
다양한 보고서 포맷 제공(pdf, xls, doc, ppt, html, txt, jpg, tif, svg, hwp, mht) |
2. 서버관리시스템(SMS)
구분 |
용도 |
구성관리 |
에이전트 별 모니터링 항목 데이터 감시주기 설정 및 on/off 기능 |
Manager를 통해 에이전트 전체/OS별 자동 업그레이드 기능 | |
네트워크 단절 시 Agent 독자적으로 관리정보를 보관하여 서버의 주요성능항목의 데이터 손실이 없도록 지원 | |
관리대상의 계층적 구조 표현을 위한 무한 Depth 그룹 핑 기능 지원 | |
OS/서버 별 자동 통계 조회 기능 (CPU, Memory, DISK) | |
성능관리 |
RIA(Rich Internet Application)기술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한 화면에서 모니터링 하도록 성능 및 Traffic의 속도/양/방향을 동적으로 표시 |
일반성능항목: CPU, 메모리, 파일시스템, Swap, Traffic(NIC별), 프로세스 수, 사용자수, 로드평균, 지연시간 모니터링 기능 | |
일반성능 항목에 대한 실시간(2초 간격) 모니터링화면 제공 (CPU, MEM, Load, Swap, Process(cnt), NIC) | |
모니터링 항목에 대해 일/주/월/년에 대한 성능데이터 및 MRTG 형태의 그래프를 제공 | |
shell 스크립트를 통한 사용자 설정 성능 항목에 대한 통계 조회 기능 | |
성능 그래프상에서 시점 선택 시 해당 시점 Snapshot(프로세스 별 자원 점유율)정보 제공 | |
장애 이벤트 발생 당시 서버의 Snapshot 기능 제공(CPU, MEM, 저장장치, 프로세스 정보) | |
Micro-Partitioning 모니터링 기능 제공 | |
CPU, Memory, DISK 등 자산 변동 시 전/후 비교 기능 제공 | |
최대 20초 이내 에이전트 무응답, 서버다운 Check 기능 제공 | |
동일 성능항목에 대해서 여러 장비 성능 비교 화면 기능 제공 | |
단일장비의 여러 항목에 대한 비교 화면 제공 | |
에이전트 서버에서 데이터 전송 지연 발생 시 별도의 팝업을 통하여 현황 리스트 제공 (최종수집시간, 총 지연시간 표시 등) | |
윈도우 서버는 perfmon 데이터를 제공 | |
장애관리 |
임계치(평균/변화 량/현재 값) 초과에 대한 발생횟수, 지속시간의 조합감시 기능 |
감시설정 별 지속시간에 따른 1,2,3차 순차적 장애통보기능 지원 | |
관리자가 OS별로 기본적인 감시설정을 설정하여 추가되는 관리대상에 대해서 자동으로 감시설정이 적용되도록 하는 기능 제공 | |
에이전트 서버와 매니저 서버 간 서버시간 차이 감시 기능 | |
로그 파일 및 windows 이벤트로그에 대한 문자열 감시 기능(정규식 지원) | |
일부 성능항목의 데이터 패턴을 이용하여 동적임계치를 통한 Proactive 장애 예측기능 제공 | |
shell 스크립트를 통한 사용자 설정 성능 항목에 임계치 설정을 통한 감시 기능 | |
자동복구 스크립트를 통한 장애 복구 기능 제공 | |
보고서 |
통계 보고서, 상관관계 보고서, 증설필요성 보고서, 가용성 및 이벤트 보고서, 성능보고서, 최번시 분석 보고서 기능 제공 |
분석시간 대, 토요일/일요일 제외 옵션을 통한 보고서 생성 기능 | |
보고서 생성시 메일로 동시 발송 옵션 기능 제공 |
구분 |
용도 |
구성관리 |
네트워크 장비는 SNMP, ICMP 기반으로 정보 수집 관리 제공(SNMP v1, v2, v3) |
네트워크 장비의 일괄 P/W 변경과 같은 작업 관리 기능을 제공 | |
Private MIB으로 수집 불가 항목에 대해 CLI기반 데이터 수집/관리 기능을 제공 | |
Private MIB 설정기능을 제공하여 기본 모니터링 항목 외에 OID 등록을 통한 관리자에 의한 모니터링 항목의 추가 기능 | |
Cisco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CDP, 플래시 메모리, 새시 및 모듈 정보 제공 | |
성능관리 |
장비의 인터페이스 수, 장비별 total 송수신 정보(bps, pps, Ucast, NonUcast, Discards, Errors, 지연시간) 제공 |
모니터링 화면에서 송수신(bps,pps), 지연시간, CPU(%), MEM(%) 데이터 이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조회 기능 | |
L4에 연결된 Real IP 및 Virtual IP에 대한 상태 및 Port, Current Session정보 제공 | |
포트 상태를 포트뷰를 통해 업/다운 및 송수신 상태 직관적으로 표시 | |
RIA(Rich Internet Application)기술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한 화면에서 모니터링하도록 성능 및 트래픽의 속도/양/방향을 동적으로 표시 | |
인터페이스의 성능 항목을 선택적으로 그룹핑하여 성능 추이그래프 화면 구성 및 모니터링 제공 | |
주요 인터페이스 성능에 대한 실시간(Minimum 2초) 추이 모니터링 | |
추가적으로 CLI를 통해 사용자가 정의한 항목 모니터링 | |
장애관리 |
인터페이스 별 송수신 정보 모니터링 및 송수신에 대한 임계치 설정 기능 |
장비다운에 대한 Root Cause 기능으로 효과적인 장애인지 제공 | |
주요성능항목 데이터 패턴을 이용한 동적임계치를 통한 Proactive 장애 예측기능 제공 | |
CLI 실행 결과 값에 대한 비교 및 감시설정 기능 제공 | |
보고서 |
통계 보고서, 상관관계 보고서, 증설필요성 보고서, 가용성 및 이벤트 보고서, 성능보고서, 최번시 분석 보고서 기능 제공 |
분석시간 대, 토요일/일요일 제외 옵션을 통한 보고서 생성 기능 | |
보고서 생성시 메일로 동시 발송 옵션 기능 제공 | |
동일 성능항목에 대해서 여러 장비 성능 비교 분석 기능 제공 |